top of page

​꽁실꽁실

초의 태 - 초가 어요

꽁초싫어 꽁실러 참여하기

정부와 기업에 요구합니다

  • 정부는 

   1.EPR(생산자 책임제도) 품목에

      담배를 추가하라!

       ※생산자책임재활용(EPR :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제도는 제품의 생산자에게 그 제품의

          폐기물에 대하여 일정량의 재활용의무를 부여하여

          재활용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 기업은 

   1.플라스틱 담배꽁초 필터 개선하라!

   2.담배꽁초 수거 및 재활용 체계 구축하라!

   3.담배꽁초 오염문제 책임져라!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앵커 1

​꽁초 문제, 영상으로 확인해요

서울환경연합이 꽁초트리를 만든 이유는?

해양 쓰레기 비율 1위

'담배꽁초'

​꽁초 문제, 말 하기도 입 아파요!

cigarettes-723126_1280.jpg

 토양오염 

fire-4365659_1920.jpg

 화재발생 

SSI_20171230113338_V.jpg

 해양오염 

l_2018040901000814500078831.jpg

 미세플라스틱 

​ 전 세계 꽁초의 2/3 

 국내 연간 460억개 

​ 무단투기 

서울 꽁초, 여기 다 있더라!

400_140-4단-리플렛02.png

​꽁초, 잘만 버리면 백만불짜리!

우리는 요구한다!

 담배꽁초는 플라스틱이다. 담배 속 유해물질로부터 몸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담배필터가 사용된다. 이 필터는 플라스틱 섬유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는 생산되는 담배꽁초의 3분의2, 약 4조개의 담배꽁초가 무단투기 된다. 투기된 담배꽁초는 해안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쓰레기 1위로 나타났다. 해양에 흘러들어간 담배꽁초는 분해되어 미세플라스틱이 되고 바다거북, 바닷새, 심지어 우리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까지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담배를 생산하고 해충 퇴치용 퇴비 혹은 건축자재 등으로 담배꽁초를 재활용하고 있다. 담배를 생산하는 담배 회사들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고 있다. 벨기에에서는 담배제조업체가 담배꽁초 재떨이를 설치하는 비용을 부담했고, 벨기에 담배연맹 등은 공공장소 청결 문제에 대해 건설적으로 협력할 준비가 됐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서울환경연합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흡연자 701명 중의 87.6%가 담배꽁초수거의 책임을 담배 회사에 부여하는 제도(생산자 책임제도 : 생산자가 자신의 제품에 대한 폐기물 처리 책임을 지는 것)의 도입을 찬성했다. 흡연을 하는 시민들도 담배 생산자인 담배 회사의 수거 책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담배꽁초의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담배 필터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국내 시판 중인 담배의 90% 이상이 플라스틱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유럽은 2030년까지 플라스틱을 함유한 담배 필터를 80%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 사례와 같이 우리 정부 차원에서도 이를 규제해야 하고, 기업은 재질 개선에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필터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도 자원순환의 차원으로 담배를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담배 회사는 그들의 생산품을 책임지는 차원에서 직접 기관을 운영하거나 기금을 통한 위탁 운영 등 다양한 방법으로 담배꽁초를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데에 일조해야 할 것이다.

 서울환경연합은 위의 사항에 관해 실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한국담배협회의 회원기업 4곳(한국필립모리스, 브리티쉬아메리칸토바코코리아, 재팬토바코인터내셔널코리아, KT&G)에 질의했으나 모두 무응답으로 일관하였다. 이에 서울환경연합은 한국담배협회 회원기업이자 국내 최대 담배기업 KT&G에게 요구한다.

하나. 담배 속 플라스틱이 함유된 필터의 개선을 요구한다. 담배 속 플라스틱필터는 결국 플라스틱 생산량을 늘리고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질의 담배필터를 제조하기를 요구한다.

하나. 담배꽁초 수거 및 재활용 체계 마련을 요구한다. 유해물질로 이루어진담배꽁초는 도시의 미관상에도 좋지 않을뿐더러 하수구를 역류하게 하고 매년6,000건 이상의 화재를 일으킨다. 이에 수거한 담배꽁초를 해충 퇴치용 퇴비혹은 경량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우선, 똑바로 버리자!

휴대용 재떨이.jpg

​ 휴대용 재떨이 

버릴 곳이 없다면? 들고 다니면 되지!

​쓰레기통이 없을 땐 휴대용 재떨이가 있어요. 내 주머니에서 나온 담배,

다시 내 주머니에 넣어 가져가요.

시가랩.jpg

 시가랩 

냄새가 나는 휴대용 재떨이의 단점을 보완한 시가랩도 있어요. 껌 종이처럼, 한 장씩 뽑아 꽁초를 감싼 후 담배갑에 다시 쏙! 나중에 휴지통에 한꺼번에 버리면 돼요. 

서울환경운동연합.png
bottom of page